검색

학교소개

교수소개

본문

송승인 교수

초빙교수
전화번호
이메일
sisong72@gmail.com
학력

미국 Gateway Seminary 신약학과(PhD)

미국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ThM)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경북대학교(ME)

계명대학교(BE)


계명대학교(BE), 경북대학교(ME),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MDiv) 후 미국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ThM)와 미국 Gateway Seminary(PhD)에서 학위를 취득했다. 2022년부터 본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Water as an Image of the Spirit in the Johannine Literature (Peter Lang, 2019)와 공저로 참여한 요한복음 연구(이레서원, 2021)가 있다. 관심 및 전문분야는 요한복음, 요한일서, 요한계시록, 성령론, 상징에 대한 연구 등이다.

최종학위논문

“Water as an Image of the Spirit in the Johannine Literature.” PhD. Dissertation. (Gateway Seminary, 2015).

저서

공저 『요한복음 연구』(이레서원, 2021)
『Water as an Image of the Spirit in the Johannine Literature』 (Peter Lang, 2019)

역서

Wiarda, Timothy. 『복음서와 내러티브 해석: 장면들, 인물들, 그리고 신학』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7.

학술논문

“The Relation between οἱ Ἰουδαῖοι and ὄχλος in John 6:1-7:52.” 『신약연구』 20.3 (2021): 466-490.
“요한복음을 중심으로 한 사복음서의r`abbi,/r`abbouni,에 대한 연구.” 『피어선신학논단』 10.1 (2021): 1-27.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이중 아멘(avmh.n avmh.n) 발언에 대한 연구.” 『신약연구』 19.4 (2020): 769-790.
“복음서의 ‘인자’(o` ui`o.j tou/ avnqrw,pou)에 대한 연구.” 『신학연구』 57.2 (2020): 7-29.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do,xa 언어.” 『신학과 사회』 34.4 (2020): 75-99.
“Rethinking the Meaning of Water and Wine in John 2:1-11.” 『신약논단』 27.3 (2020): 609-642.
“The Relation Between the Prologue of the Fourth Gospel and John 1:19-51.” 『영산신학저널』 53 (2020): 171-210.
“Wisdom Motifs in the Nicodemus Discourse (John 3:1-21).” 『대학과 선교』 45 (2020): 121-153.
“문자/상징 지표를 활용한 요한복음 4:18의 pe,nte ... a;ndraj와 nu/n o]n e;ceij에 대한 의미 재고.” 『피어선신학논단』 9.2 (2020): 5-27.
“고대 환대관습과 그리스 인식 양식 장면 관점을 중심으로 요한복음 4:1-42에 대한 다양한 해석 방법 고찰.” 『ACTS 신학저널』 44 (2020): 49-80.
“구약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이미지로서의 물.” 『구약논집』 17 (2020): 8-31.
“요한복음 19:34에 기록된 예수의 옆구리에서 흘러나온 물의 의미에 대한 재고.” 『신약연구』 19.2 (2020): 314-352.
“문자/상징 지표를 활용한 요한일서 5:6-8의 물의 의미에 대한 해석학적 고려.” 『신학사상』 189. (2020): 375-402.
“상징/문자 결정 지표를 활용한 스가랴 14:8, 요엘 3:18, 에스겔 47:1-12에 등장하는 물의 의미에 대한 재고.” 『구약논단』 26.1 (2020): 120-147.
“요한복음 3:5의 ‘물과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의 의미에 대한 고찰.” 『신약논단』 27.1. 2020: 79-114.
“Tribulation Languages in the Book of Daniel and Revelation.” 『개혁논총』 50. 2019: 227-256.
“요한복음 6장 35절의 목마름 언어에 대한 의미 재고.” 『신약연구』 55. 2019: 328-354.
“The Matthean Theology of Prayer.” 『신약논단』 26.3. 2019: 621-663.
“Seeing the Johannine Last Meal as a Covenant Meal (John 13 and Exodus 24).” Biblica 100.2 (2019): 282-292.
“누가복음의 문맥에서 본 ‘비둘기 같은 성령’(눅 3:22)의 의미 연구.” 『신약연구』51. 2018: 330-359.
“Old Testament Background to Hebrews 6:4-8.” 『신약연구』47. 2017: 99-124.